안녕하세요 TS(Trouble Shooter) Man입니다.
IT 관련 문제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고 처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 혹은 가정에서 Synology NA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폴더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SMB, Snology Drive, FTP 등의 방법이 있으나 오늘은 SMB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NAS 초기 설정(IP, 사용자, RAID 등)을 마치고 나서 제어판 - 공유폴더 - 생성 - 공유폴더 생성으로 공유될 공간을 지정합니다.
폴더의 이름과 설명을 작성하고, 아래의 옵션을 설정합니다.
●이 공유 폴더를 '내 네트워크 환경'에서 숨기기 :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 폴더를 보이지 않게 합니다. (체크 시 SMB 사용 불가)
● 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하위 폴더 및 파일 숨기기 : 공유 폴더에 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이 폴더를 볼 수 없도록 합니다.
● 휴지통 활성화 : 파일을 삭제하면 공유폴더 내에 휴지통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삭제된 파일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추어 옵션을 설정하며, 다음으로 넘어가면 보안 조치에 대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공유 폴더를 암호화하여 보호 : 폴더의 접근에 보안을 강화하려면 암호 기능을 추가합니다.
● 고급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데이터 체크섬 활성화 : 중요한 데이터라면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해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 공유 폴더 할당량 활성화 : 공간을 제한하여 설정한 용량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입니다.
설정한 내용을 확인하는 화면 이후 아래와 같이 사용자 권한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합니다.
제어판 - 파일 서비스 - SMB 화면에서 'SMB 서비스 활성화'에 체크합니다.
아래에 공유폴더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주소가 표기되어 있으니 이것을 확인해두어야 합니다.
이제 공유받을 PC에서 설정을 해야 합니다.
Ctrl + R → control keymgr.dll(자격 증명 관리자)로 접속합니다.
Windows 자격 증명 → Windows 자격 증명 추가를 눌러 Synology NAS에서 설정한 경로(SMB 설정 화면의 주소)와 계정/암호(권한을 부여한 사용자)를 입력합니다.
시작 혹은 실행에서 \\SMB 설정 화면 주소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자신이 설정했던 공유폴더가 보입니다.
이 폴더의 바로가기를 만들어 바탕화면에 추가하거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SMB연결은 보안상 취약(특히 랜섬웨어)하므로 잘 확인해 보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물론 랜섬웨어가 발생하더라도 NAS의 기능 중 버전 변경 혹은 스냅숏 등의 기능으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항상 좋은 정보만을 전달드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indows] 암호 없는 공유 폴더 갑자기 계정과 암호를 물어볼 때(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
안녕하세요 TS(Trouble Shooter) Man입니다. IT 관련 문제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고 처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Windows 공유폴더(SMB)를 사용하면서 암호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그
ittsman.tistory.com
[Server] Disk RAID 구성
안녕하세요 TS(Trouble Shooter) Man입니다. IT 관련 문제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고 처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Server나 Storage는 일반 PC와 달리 디스크의 안정성, 항상성, 데이터 보존을 위해서 RAI
ittsman.tistory.com
[Windows] 원격 포트 바꾸는 방법
안녕하세요 TS(Trouble Shooter) Man입니다. IT 관련 문제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고 처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Windows 원격 포트는 기본 값이 3389입니다. 디폴트 값으로 해놓고 사용한다면 해외
ittsman.tistory.com
[Network]Cisco Switch VLAN 구성 방법
안녕하세요 TS(Trouble Shooter) Man입니다. IT 관련 문제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고 처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대부분 Cisco L2 Switch 를 사용하실 텐데요. Cisco VLAN 구성방법에 대해서
ittsman.tistory.com
'IT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보안]개인 정보 보안 조치 방법 (0) | 2025.04.29 |
---|---|
[Server]메모리 추가/변경 방법 (0) | 2025.04.18 |
[Windows]계정 보안(암호 복잡성, 기간 등) (0) | 2025.04.02 |
[IT보안]DLP란 무엇인가? With MDM (0) | 2025.03.28 |
[Web] 맞춤 광고가 나오는 이유(엣지, 크롬 쿠키 삭제 방법) (0) | 2025.03.21 |